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3) - 세종대왕릉역편[2016.09.16]



 이번에 소개할 역은 한국사람이라면 가장 잘 알려지고 존경하는 조선의 임금 중 하나인 세종대왕의 왕릉인 영릉이 위치한 여주시의 세종대왕릉역에 대해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명    : 세종대왕릉역(世宗大王陵驛)

주소    :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신지리 276-2 인근

영업일  : 2016.09.24



8년 전 허허벌판이던 이 곳에...



고가가 올라가고 그 옆에 건물이 지어지더니


바로 그 자리에 세종대왕릉역이 개통을 앞두고 있습니다.



세종대왕릉역 주변은 현재 황량한 편입니다.



역 주변은 황량하지만 내리는 사람들은 정말 많습니다.



영문명과 일어명이 상당히 길어보입니다. Sejongdaewangneung.. 무려 18자나 되는군요!



여주 방면에서 바라본 승강장입니다. 행선지가 횅한것으로 보아 연장을 염두해둔 듯 보입니다.



이 곳이 수도권 전철역이 맞나 싶을 정도로 주변에는 정말 논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세종대왕을 상징하는 역 답게 역내 통로에는 훈민정음 관련 액자가 승객들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시승식 기간동안 마련된 임시버스에는 때아닌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습니다.

나중에 영릉을 방문할 때 이 역을 이용하면 다소 편해질 듯 합니다.



이 곳 또한 경강선 개통에 상당히 기뻐하는 모습입니다.



세종대왕릉역의 전체적인 모습입니다.



새로운 역 개통에 부동산 현수막도 빠질수 없지요!



다른 지역과 이어지는 철도는 현지인에겐 상당히 기쁜 교통수단입니다.



영릉행 버스는 그 많은 관광객들을 태우고 역을 떠납니다.



사실 위에 보시는 카메라의 앵글을 조금만 더 돌리면 온통 노란 벼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이 곳도 어느정도 주변환경 개발이 절실해 보입니다.



앞서 출발한 버스에 타지 못한 승객들은 다음 버스를 차분히 기다립니다.



자세히 보니 역 건물 타일에도 한글이 촘촘히 박혀있군요! 상당히 인상깊습니다.



여주시내에서 경강선은 풍성한 벼밭을 뚫고 행선지를 향합니다.



벼밭 너머에 인근 마을이 보입니다. 다소 거리가 있는 역까지 주민들은 걸어서 올 수 있으련지......



오늘날의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의 업적들은 정말 대단해 보입니다.

한 나라의 언어를 만든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니 말이죠.



여주역을 출발한 열차를 타기 위해 승객들이 플랫폼으로 향하기 시작합니다.



승객들은 판교행 열차에 오르기 위해 분주히 움직입니다.



판교행 승강장에서 바라본 마을 풍경입니다.

앞으로 이 곳이 고향인 분들은 전철을 타고 갈 수 있으니 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합니다.



스크린도어 상단 역명표시입니다.

왠지 다른 역의 표시와는 무엇인가 빠진듯 한 모습입니다.



최근 코레일 역들이 한결같이 시가지를 벗어난 지역에 역을 짓다보니

이렇게 역 주변에서 시골풍경을 볼 수 있는 역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반면, 시가지의 주민들은 역을 찾아가는 길이 멀고 험한지라......



 다음 포스팅에서 다음 역인 부발역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300x250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2) - 여주역편 [2016.09.16]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 시리즈 첫번째로 현재 경강선의 종착역인 여주역에 대해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명    : 여주역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교동 383-1 인근

개업일 : 2016.09.24



8년 전 한적하고 평범해 보이던 시골마을이



 여주역 확정 후 한창 공사가 진행되더니



어느덧 역이 완성되었습니다.



1972년 이후 무려 44년만에 여주에 철도가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시로 승격한지 3년만에 수도권 전철이 들어서게 되면서 여주 시민들도 상당히 많은 기대를 하는 듯 보입니다.



경강성 시승식에 대응하기 위해 여주시내버스도 임시로 여주역에 정차합니다.



경강선 시승행사를 알리는 플랜카드가 걸려있습니다.



현재 여주역의 유일한 출입구



역내에는 보시는 바와 같이 넓은 대기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역내에 부착된 여주역 역명판입니다.

다른 코레일 역들과는 달리 KORAIL 마크가 보이지 않군요.



판교행 열차가 출발전 대기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다음역인 '세종대왕릉역'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300x250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1) - 판교~여주구간편



 지난 2008년 12월 17일 착공에 들어갔던 경강선이 드디어 개통을 코앞에 두고 추석기간을 이용해 시승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전 노선들의 경우 개통 전날 혹은 당일 시승식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이번 시승 행사의 경우 추석기간의 연휴 동안 새로 개통한 전 구간을 운행하는 이른바 '오픈베타테스트'를 진행하여 어느정도 시행착오를 겪어보려는 의도인 듯 합니다.



몇몇 분들께 '경강선'이라는 명칭이 상당히 낮설어 어떤 노선인지 감이 오지 않는 분들이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이 노선은 이전에 '성남여주선'이라는 이름으로 착공을 시작하였습니다. 노선이 한창 건설되던 도중 '월곶판교선'과 직결운행으로 한 노선처럼 운행될 예정인데다 평택-원주구간에서 여주-원주 구간이 먼저 개통되는데다가 2018년 평창 올림픽을 위해 건설중이던 '원주강릉선' 노선을 모두 통합하여 기도에서 원도를 잇는 노선이라는 의미에서 경강선이라는 이름이 된 것입니다.



 경강선의 전체적인 노선의 모습입니다. 이름 그대로 우리나라 국토의 한 축을 지나가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보시는 대로 수도권전철 경강선의 초기 이름은 여주선으로 개통 예정에 있었고 위에 표시된 노선 그대로 경강선이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개통이 가까워지면서 어느덧 전철 노선도에도 경강선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경강선이 이제 곧 개통될 것임을 알리는 듯한 모습입니다. 것보다 나중에 월곶-판교 구간이 개통되면 노선도 그리기가 참 힘들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 궁금해집니다.

 


경강선 개통이 임박하면서 주요역에는 위와 같이 영업 개시를 알리는 포스터가 곳곳에 붙어있습니다. 



시승행사 당일 수많은 사람들이 경강선에 탑승하기 위해 몰려들었습니다.



경강선 열차는 수인선 열차와 같이 4량이기 때문에 마치 아침 지하철 출근시간을 방불케 하는 장면이 연출되고 있었습니다.



 여주역에 도착한 경강선 열차는 판교역에서 탑승한 수많은 사람들을 토해내고 있었고 여주역 바깥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경강선에 투입된 열차의 도색이 같은 색인 줄 알았는데 가까이서 보니 위 아래의 색이 미세하게 다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천-여주 지역은 예로부터 쌀이 유명한 지역이다 보니 전철을 타고 가는 동안 주변에는 수많은 논이 펼쳐져 있습니다. 특히나 수확기가 가까워지니 들녘이 온통 노랗게 물들어가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로군요.



 차후 경강선이 정식 개통하게 된다면 경강선을 통해 펼쳐지는 이 멋진 풍경을 꼭 감상해보셨으면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각 역의 특징들에 대해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