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6) - 신둔도예촌역편[2016.09.16]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천의 명소 이천도예촌이 있는 신둔면에 위치한 신둔도예촌역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명 : 신둔도예촌역(新屯陶藝村驛)
주소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수광리 528-2 인근
영업일 : 2016.09.24
신둔도예촌역 내 행선판입니다.
특이하게 벽에 붙어있는 형태입니다.
개통시 적용될 운행시간표입니다.
운행 횟수는 경춘선과 얼핏 비슷해보이는 듯 합니다.
신둔도예촌역 승강장 내부의 모습입니다. 승강장이 낮게 설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신둔도예촌역 2번출구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신둔도예촌역 인근에 아파트가 한 채 보입니다.
이 곳에 거주하는 분들께 이 역은 서울로 가는 가장 빠른 교통수단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역 인근 다리에서 역을 촬영한 모습입니다.
신둔도예촌역 1번출구 모습입니다.
역 앞에 도자기를 만드는 모습이 형상화된 조형물이 눈에 보입니다.
곤지암역에서 출발한 여주행 열차가 신둔도예촌에 들어오는 모습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곤지암역에 대해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좌충우돌 여행기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8) - 초월역편[2016.09.16] (0) | 2016.09.28 |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7) - 곤지암역편[2016.09.16] (0) | 2016.09.27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5) - 이천역편[2016.09.16] (0) | 2016.09.25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4) - 부발역편[2016.09.16] (0) | 2016.09.24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3) - 세종대왕릉역편[2016.09.16] (0) | 2016.09.2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5) - 이천역편[2016.09.16]
이번 포스팅에서는 쌀 생산지로 유명한 이천 지역에 만들어진 역인 이천역에 대해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역명 : 이천역
주소 : 경기도 이천시 율현동 435번지 인근
영업일 : 2016.09.24
2009년 8월 경강선이 착공되기 시작할 무렵의 모습입니다.
역 자리는 보시는 바와 같이 계단식 논이었던 곳인 듯 합니다.
2016년 9월 현재는 이 한적한 곳에 달랑 역이 만들어집니다.
역 주변은 허허벌판이나 시승기간인 현재는 사람들이 북적이는 역이 되었습니다.
이천역 광장에 설치된 조형물의 모습입니다. 이천의 도자기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합니다.
익어가는 벼들 사이로 철길은 여주 방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조형물 앞에서 찍은 이천역 전경입니다.
이천역의 유일한 출입구
이천역 버스정류장입니다.
이천시에서는 대부분의 시내버스를 이천역에 정차하도록 노선도를 개편할 예정입니다.
이천역 내부 모습입니다. 역 내부는 천장이 상당히 높습니다.
이천의 대표 생산품인 쌀을 형상화한 역이다보니
역 내부는 쌀의 모형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판교행 열차를 기다리며 찍은 사진입니다.
앞으로 이천 시민들이 이 역을 많이 사용할 것으로 기대해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이천의 3개 역 중 하나인 신둔도예촌역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좌충우돌 여행기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7) - 곤지암역편[2016.09.16] (0) | 2016.09.27 |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6) - 신둔도예촌역편[2016.09.16] (0) | 2016.09.26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4) - 부발역편[2016.09.16] (0) | 2016.09.24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3) - 세종대왕릉역편[2016.09.16] (0) | 2016.09.21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2) - 여주역편 [2016.09.16] (0) | 2016.09.2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4) - 부발역편[2016.09.16]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종대왕릉역의 다음 정차역인 부발역에 대해 포스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역명 : 부발역(夫鉢驛)
주소 :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아미리 505-7 인근
영업일 : 2016.09.24
6년 전인 2010년 8월 경 부발역 자리의 모습입니다.
2014년 2월경 경강선 공사가 한창 진행중일 때 모습입니다.
2016년 9월 16일 시승식이 한창인 완공된 부발역사
판교행 방면 승강장입니다. 아직은 아침이다 보니 시승객이 많지 않는 상황입니다.
경강선 열차 랩핑 도색은 볼 때 마다 2개의 색이 같아보입니다.
부발역 승강장에서 바라본 마을의 모습입니다.
시승기간임에도 벌써 역 앞 자전거 거치대엔 몇 대의 자전거가 보입니다.
시승객이거나 혹은 코레일 직원의 것으로 보입니다.
판교 방면 행선판 오른쪽이 휑하니 비어있는 것으로 보아 월곶 방면 추가를 감안하여 비워둔 것으로 보입니다.
부발역은 고가 승강장 아래 통로로 출입구와 이어져 있습니다.
시승 기간동안 시간표입니다.
상하행선 모두 배차간격이 1시간인 것으로 보아 달랑 2대 가지고 시승행사를 진행하는 듯 보입니다.
2009년 이전 지어진 역의 경우 역무실이 창구로 만들어져 있었는데
창구가 필요 없어지게 되면서 이렇게 자동발매기가 그 역할을 대신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시승 행사 기간동안 무료 탑승이라 인근 주민들이 상당히 많이 참가하는 듯 보입니다.
쌀의 도시 이천에는 총 3개의 정거장이 있습니다.
부발역이 그 중 하나이지요.
부발역 전경입니다.
부발역 광장에는 보시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 그림이 그려진 듯한 큐브 모양의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부발역 인근에 SK하이닉스 공장이 있는데다
SK하이닉스의 대표적인 상품인 반도체를 형상화한 듯한 조형물입니다.
차후 사용될 부발역 버스정류장에서 찍은 사진.
최근 코레일에서 만드는 지상역 대다수가
일반철도던 광역철도던 KTX역이던 모두 버스정류장을 역광장에 설치하는 추세입니다.
부발역 단 하나뿐인 1번출구.
부발역 폴사인을 배경으로 한 컷!
부발역에서 판교 방면으로 걸어가다보면 다리 위에 조형물 같은 것이 보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과연 부발역 주차장 차량들은 모두 부발역 사용을 위한 승객들의 차량들일까요?
'
여주 방면 행선지도 왼쪽 부분이 횅하니 비어있습니다.
혹시 원주까지 전철을 타고 다니는 날이 오는 것일까요?
이어서 이천역에 대해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좌충우돌 여행기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6) - 신둔도예촌역편[2016.09.16] (0) | 2016.09.26 |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5) - 이천역편[2016.09.16] (0) | 2016.09.25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3) - 세종대왕릉역편[2016.09.16] (0) | 2016.09.21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2) - 여주역편 [2016.09.16] (0) | 2016.09.20 |
수도권전철 경강선 시승기(1) - 판교~여주구간편 (0) | 2016.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