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진동모터 연결선이 빠졌을 때 대처법
열심히 작동하던 진동모터가 지속되던 진동으로 인해 연결선 끝부분이 쏙 하고 빠져버리는 대참사가 벌어졌습니다.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할지 잠시 당황했으나 다시 대처 방법을 공부한 후 이를 고쳐보기로 하였습니다.
보시는 대로 진동모터의 끝부분이 참혹하게 빠져버렸습니다.
그나미 끝 부분에 빠져나간 선의 일부가 약간이나마 남아서 다시 연결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우선 잘려나간 부분의 끝을 칼로 살살 도려냅니다.
계속 까다보면 잘려나간 틈으로 전선이 살짝 남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까진 부분에 잽싸게 선을 연결한 후 납으로 때워버립니다.
드디어 성공!
끝부분이 다시 떨어지지 않도록 글루건으로 완전히 고정시켜 버립니다.
조금 멋이 떨어지지만 아무튼 동작이 잘 되는 것으로 보아 성공한 듯 합니다.
다음은 이러한 참사가 다시 벌어지지 않도록 진동모터 끝부분을 확실히 마무리 하는 작업에 들어갑니다.
진동모터를 고정시킬 PCB판을 잘라냅니다.
휘어지는 PCB판을 사용하시면 좀 더 유연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PCB판에 진동모터 끝부분을 납땜합니다.
이로서 진동모터의 짫은 선 문제는 해결되었습니다.
글루건으로 납땜한 부분을 마무리하면 어떤 상황에서도 진동모터를 무사히(?)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베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으로 보는 엔코더의 작동 원리 (0) | 2019.12.16 |
---|---|
[로터리 엔코더] 엔코더의 작동 원리 및 사용 방법 (42) | 2016.07.31 |
파워서플라이로 모듈 사용시 주의사항 (0) | 2014.08.0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파워서플라이로 모듈 사용시 주의사항
매번 파워서플라이를 만지면서도 아차 하는 실수로 모듈 하나가 타버리는 실수를 해버렸습니다. 파워서플라이를 옮기던 중 눈금이 돌아가 있던 듯 한데 수치를 보지 않고 그냥 모듈에 연결해 버린것이 화근이었던 듯 합니다.
이렇게 모듈이 타버려 두 번 다시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린다면 정말 마음아프지 않을 수 없습니다. 특히 고가격의 모듈이라면 스트레스가 상당할 겁니다.
임베디드 분야를 공부하시는 분들이라면 매우 기본적인 상식이기도 하지만 순간의 실수로 비싼 모듈을 망가뜨릴 위험이 있습니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듯이 말이지요.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할 때 마다 다음과 같은 수칙을 확인하고 사용하도록 합시다.
1. 파워서플라이를 켜기 전 가급적이면 모듈과 분리시킨 후 키도록 합니다.
2. 모듈에 파워서플라이를 연결하기 전, 파워서플라이가 해당 모듈의 정격전압에 맞는지 확인합니다.
3. 모듈에서 이상이 발생시 즉시 파워서플라이로부터 모듈을 떼어내 버립니다.
4. 파워서플라이를 사용 후 반드시 전원을 끄도록 합니다.
'임베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으로 보는 엔코더의 작동 원리 (0) | 2019.12.16 |
---|---|
[로터리 엔코더] 엔코더의 작동 원리 및 사용 방법 (42) | 2016.07.31 |
진동모터 연결선이 빠졌을 때 대처법 (0) | 2014.08.08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Tiva] I2CMasterSlaveAddrSet()
I2CMasterSlaveAddrSet(uint32_t ui32Base, uint8_t ui8SlaveAddr, bool bReceive)
이 함수는 MCU가 I2C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통신할 Slave의 주소값을 설정한 후 통신을 개시할 때 쓰는 함수이다.
uint32_t ui32Base
첫 번째 인자는 I2C 통신을 하게 될 Master 의 Base Address이다.
uint8_t ui8SlaveAddr
두 번째 인자는 I2C 통신시 전달할 Slave의 Address이다. 이 때 Slave의 Address값은 7bit값이어야 한다.
시중에 있는 I2C 통신의 DataSheet에서 설정되어 있는 주소는 일반적으로 8비트로 구성되어있는데
이는 해당 8비트 주소의 오른쪽 끝부분이 R/S를 설정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DataSheet에 설정된 Address를 사용할 경우 실제 Slave의 Address를 오른쪽으로 비트이동을 하면 된다. 간단하게 ui8SlaveAddr / 2를 하면 쉽게 적용할 수 있다.
bool bReceive
세 번째 인자는 I2C 통신시 Slave에게 하고자 하는 R/S를 설정합니다.
true - R(Slave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옵니다.)
false - S(Slave에 값을 저장합니다.)
다음은 해당 함수를 적용한 소스코드와 결과이다.
ROM_I2CMasterSlaveAddrSet(I2C0_BASE, 0xE0 / 2, false);
ROM_I2CMasterDataPut(I2C0_BASE, 0x7E);
ROM_I2CMasterControl(I2C0_BASE, I2C_MASTER_CMD_SINGLE_SEND);
while (ROM_I2CMasterBusy(I2C0_BASE)) {
}
① : SLAVE의 ADDRESS 주소
② : R/S
③ : SLAVE의 ACK
④ : R의 경우 = Master가 Slave로부터 전달되는 값을 읽음
S의 경우 = Master가 Slave에게 값을 전달함
⑤ : Master의 ACK
'임베디드 > 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va] tm4c 시리즈 MCU로 TextLCD(CLCD) 동작 (0) | 2014.08.21 |
---|---|
[Tiva]startup_ccs.c 파일에 외부 인터럽트 추가하기 (0) | 2014.08.09 |
[Tiva] TM4C의 I2C 통신 파형 보는 방법 (4) | 2014.07.28 |
[Tiva] TM4C 시리즈에서 외부인터럽트 구현 (12) | 2014.07.26 |
[Tiva] TM4C 시리즈에서 타이머 구현 (0) | 201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