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머신에서 Android x86 해상도 조절하기

공대생의 팁 2021. 9. 18. 21:34

 

 VMware 혹은 VirtaulBox에서 운영체제를 설치한 후 확장 도구를 설치하면 마치 일반적은 프로그램 창 처럼 가상머신 상에서 구동되는 운영체제의 해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Android x86으로 설치된 운영체제에서는 확장 도구 설치가 어려울 뿐 아니라 내부적으로도 해상도를 조정하는 기능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심지어는 화면이 잘려 보이기까지 하고 말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정되어 있는 안드로이도 x86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해상도 변경을 위해서 grub 부팅 과정에 미리 해상도를 설정해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먼저 가상머신으로 안드로이도 x86을 실행시켜준 후 grub에서 Debug mode로 접근합니다.

 

 

 Debug mode로 접근하면 수많은 글자들이 화면을 뒤엎는 장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잠시 기다린 다음 엔터를 연타하여 명령어를 칠 수 있게 해줍니다.

 

 

위와 같이 명령어를 칠 수 있는 화면이 나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grub 메뉴를 수정해줍니다.

# mount -o remount,rw /mnt
# vi /mnt/grub/menu.lst

 vi로 menu.lst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옵니다. 우리는 여기서 첫 번째 메뉴인 'title Android-x86 ~~' 부분을 수정하고자 합니다. 두번째 줄인 'kernel /~~'의 맨 뒷부분으로 커서를 이동시킨 다음 'i'를 입력하여 입력모드에 진입합니다.

 

 

 위의 화면에서 보았을 때 오른쪽 부분이 잘려 보이는데 커서를 오론쪽으로 쭈욱 가다보면 가려진 오른쪽 부분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해상도를 'video=1280x720'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여기까지 진행하신 다음 안드로이드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잘리지 않고 해상도가 조절된 화면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00x250

안드로이드 기기에 LTE USB 모뎀을 연결해서 무선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 [PPP widget 3]

공대생의 팁 2021. 8. 22. 12:43

 

 우연한 기회로 작년에 컴퓨터로 LTE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하였던 적이 있었는데 지금까지도 이 글을 보러 와주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시던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서 다양한 이슈가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안드로이드를 쓰시는 거의 대부분의 분들이 삼성의 갤럭시를 보유하고 계시기에 안드로이드에 유심이 된다는 것을 너무나 당연히 생각하고 있었는데 차량용 내비게이션 혹은 와이파이용 태블릿에서는 SIM카드가 없는 모델의 경우가 존재함을 알게 되었고 해당 기기에서 통신사 망을 통한 무선 통신을 위해 USB 모뎀의 필요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조금은 이색적이고 흔치 않은 경우이지만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LTE USB 모뎀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USB 모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루팅(Rooting)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루팅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거나 자신의 기기가 은행 혹은 보안에 민감한 작업을 하는 경우 루팅을 수행하여야 하는 해당 내용을 수행하지 않으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컴퓨터에 USIM을 꽂아 통신사 데이터를 써보자! 3G LTE USB 모뎀 사용 후기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까지만 해도 휴대전화로 인터넷을 한다는 것은 매우 느린 환경의 통신사의 망을 통해 인터넷을 할 수 있지만 잠시만 사용해도 엄청난 요금울 부과했기 때문에 데이터

elecs.tistory.com

 

1.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안드로이드 기기를 루팅합니다. 필자의 경우 안드로이드 x86을 사용하였으며 안드로이드 x86의 경우 루팅이 기본적으로 되어있습니다.

 

2. 구글플레이에서 'PPP widget 3' 앱을 설치합니다.

 

 

PPP Widget 3 - Google Play 앱

와이파이 전용 안드로이드 기기와 블루투스 / USB 모뎀을 사용하여 - 설명을 읽고!

play.google.com

 

3. PPP Widget 3는 위젯으로만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설치후에도 앱 형식으로 화면에 보이지 않습니다. 자신의 폰 환경에서 설정을 통해 위젯을 추가합니다. 안드로이드 x86의 경우 바탕화면을 길게 클릭하고 있으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타납니다.

 

 

 4. 위 메뉴에서 위젯을 선택해줍니다.

 

 

 5. 다양한 위젯들 중 PPP Widget 3를 선택하신 다음 이를 원하는 바탕화면에 설치해줍니다.

 

 

6. 다음과 같이 PPP widget을 설치한 다음 USB를 연결하면 PPP Widget이 슈퍼유저 요청을 하게 됩니다. 만약 루팅을 하지 않은 폰의 경우 이후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7. PPP Widget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 선택을 계속 유지'를 선택후 '허가'를 클릭합니다.

 

 

8. 우리가 연결한 USB 모뎀을 앞으로도 PPP Widget 3에 수행할 수 있도록 '이 USB 기기에 기본값으로 사용'을 선택하신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9. USIM이 연결된 것이 확인될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창이 나타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10. 자신의 USIM을 제공한 통신사의 정보를 입력합니다. 저의 경우 KT 알뜰폰 사용자로서 APN는 KT LTE 사용을 할 수 있도록 lte.ktfwing.com을 입력하였습니다.

 

 

11. 이제 PPP Widget이 다음과 같이 바뀌어있음을 볼 수 있으실 겁니다. 'CONNECT'버튼을 눌러 연결을 시도해봅니다.

 

 

 PPP Widget이 데이터 통신 연결을 시도하고

 

 

 다음과 같이 초록불이 들어오면 인터넷에 연결된 것입니다.

 

 

 인터넷창을 통해 LTE망을 통해 인터넷이 접속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00x250

Linux에 USIM을 꽂아 통신사 데이터를 써보자! 우분투에서 LTE USB 모뎀 사용방법

공대생의 팁 2021. 8. 21. 00:14



작년 모종의 사유로 인해 인터넷이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 인터넷을 사용해야 했었는데 사용하고 있는 요금제에서 테더링을 허용하지 않아서 처음부터 컴퓨터에서 USIM을 꽃아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직접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었던 글이 있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오셔서 질문도 남겨주셨습니다. 지금도 꾸준히 제 글을 읽기 위해 찾아오시는 분들께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하고자 하시는데 비해 인터넷에서는 이를 해결해주는 정보가 없다보니 댓글로 많은 문의가 있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여러분들께 많은 성원을 주셔서 감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Tianjie사에서 제공하는 USB 모뎀을 Windows 환영 이외에 Linux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혹시 Windows에서 해당 모뎀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고싶으신 분들께서는 아래의 글을 참조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컴퓨터에 USIM을 꽂아 통신사 데이터를 써보자! 3G LTE USB 모뎀 사용 후기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까지만 해도 휴대전화로 인터넷을 한다는 것은 매우 느린 환경의 통신사의 망을 통해 인터넷을 할 수 있지만 잠시만 사용해도 엄청난 요금울 부과했기 때문에 데이터

elecs.tistory.com


시작하기에 앞서 우분투 환경에서 USB 모뎀을 꽂은 다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lsusb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Qualcomm, Inc. USB Modem이라는 정보가 출력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USB를 삽입하면 효과음이 나오는데 잠시 기다린 다음 우분투의 오른쪽 상단을 클릭하면 연결 모드가 아래와 같이 추가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하시면 우분투 환경에서 Mobile Broadband 메뉴 설정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선택하시면 다음과 같이 Mobile Broadband 설정이 추가됩니다.


Network 메뉴에서 'Add new connection'을 클릭하여 설정을 추가해봅니다.



모바일 통신사 연결에 대한 설정 정보 입력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당 내용을 읽어보신 후 Next 버튼을 눌러줍니다.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USIM 제공 통신사의 소속 국가를 설정해줍니다.


 국가를 설정한 다음 통신사를 선택합니다. 알뜰폰 가입자 분들의 경우 알뜰폰 제공업체가 사용중인 통신사를 선택합니다.

 

 자신의 USIM 요금제에 해당되는 데이터 통신 방식을 선택해줍니다.

 

 

 이제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Apply'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완료해줍니다.

 

 

 다시 메인화면에서 오른쪽 위의 버튼을 누르신 후 방금 설정하였던 통신방식을 클릭해주면

 

 

 다음과 같이 안테나 아이콘이 나타난 후 잠시 기다리면 인터넷에 연결될 것입니다.

 만약 해당 단계에서 인터넷 연결이 안되시는 분의 경우 추가적인 설정을 해줍니다. 다시 통신 설정 메뉴를 봅시다.

 

 

 방금 설정하였던 네트워크 설정 아래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Mobile Broadband' 탭을 선택하신 후 Number란에 *99***1을 추가한 후 저장해준 다음 접속을 끊은 후 다시 접속을 시도하면 인터넷에 연결될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우분투 환경에서도 USIM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