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윈도 CMD를 통해 자바 Command Line 명령어 활용하기

프로그래밍 팁 2014. 10. 4. 01:54

 자바로 프로그래밍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많은 분들께서 eclipse를 통해 프로그램을 컴파일 하고 실행하실 겁니다. 아시는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사실 eclipse는 자바를 좀 더 편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해주는 IDE(통합 개발 환경)입니다. 자바를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 마치 eclipse 자체가 자바인 것처럼 이해하셨던 분들도 많으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아마 어떤 분들은 '그렇다면 eclipse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바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는 건가?'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도 계실겁니다. 정답은 '그렇다'입니다! 그것도 Windows 의 CMD(명령 프롬프트)만으로도 컴파일 및 실행이 된다는 것이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의 CMD를 활용하여 자바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을 읽기 전에 자신의 컴퓨터에 자바 JDK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설치가 되어있지 않다면 최신 버전의 JAVA JDK를 설치하도록 합니다.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위의 사진과 같이 JAVA SE 다운로드 페이지가 나오면 왼쪽의 Java Platform (JDK) 를 선택 후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설치하면 된다.


1. 자신의 컴퓨터에 JDK가 설치되었다면 환경변수를 변경하에 JAVA 컴파일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해줍니다. 먼저 자신의 컴퓨터에 JDK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한 후 bin 폴더 내의 javac가 있는 것을 확인합니다.



 JDK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javac 파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JDK에서 기본설정된 폴더대로 설치하셨다면 C:\Program Files\Java\자신의 컴퓨터에 깔린 JDK의 버전(jdkX.X.X_XX)\bin


2.창의 윗부분을 오른쪽 클릭을 한 후 '주소 복사'를 클릭힙니다.



3. 컴퓨터에서 마우스 우측 클릭후 '속성'을 클릭합니다.



4. '고급 시스템 설정'을 클릭합니다.



5. 시스템 속성에서 '고급' 탭을 선택한 후 '환경 변수'를 클릭합니다.



6. 환경변수 창에서 시스템변수(S) 내에 Path를 더블클릭합니다.



7. 변수 값의 뒷부분에 다음 값을 추가합니다.

위의 과정에서 복사한 주소를 Ctrl+v로 붙여넣기 후 '\bin;'를 붙여줍니다.



※주의!!

 절대로 변수 값의 내용을 지우시면 안됩니다! 만약 실수로 변수 값을 덮어쓰셨다면 바로 취소 버튼을 누릅니다. 만약 기존의 환경변수를 덮어쓰기로 모두 삭제할 경우 연결된 프로그램들이 동작을 하지 못하게 되는 참사가 발생합니다!

 만약 실수로 덮어쓰기 후 확인 버튼을 눌러 변수가 지워지신 분들은 절대로 당황하지 마시고 제가 이전에 포스팅한 내용을 따라가며 원래 환경 변수값을 복구하시길 바랍니다.


[윈도7] 환경변수 path 삭제시 복구하는 방법 ← 클릭하시면 새창으로 이동합니다.


========================================================================================================

 여기까지 진행하셨다면 Windows의 CMD를 통한 자바 프로그래밍의 설정을 완료하였습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CMD를 통해 자바 프로그래밍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8. 메모장을 열고 코드를 간단하게 작성합니다.



9. 작성한 코드를 .java 확장명으로 저장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파일명은 반드시 public로 설정된 class의 명칭으로 하여야 합니다!



10. dir 명령어를 입력하여 java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합니다.



11. 명령어를 입력하여 java 파일을 컴파일 합니다. 컴파일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javac 파일명.java



컴파일이 완료되면 위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class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 생성된 class 파일을 실행합니다. 실행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java 클래스명



class 파일을 실행하면 프로그램일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커맨드 라인으로 입력된 값을 그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13. Command Line을 통해 입력된 값들을 처리하는 부분을 추가합니다.

Command Line에 추가로 입력된 값들은 main 함수의 인자인 String 배열 변수인 args를 통해 프로그램에 적용됩니다.


14. 위에서 진행했던 과정대로 컴파일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입력된 값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하고 있습니다.


>java 클래스명 args[0] args[1] args[2] .....


이와 같이 입력된 String 값들이 main의 args 인자로 출력할 수 있게 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00x250

MediaPlayer, VideoView 재생이 끝났을 때 이벤트 처리하기 (setOnCompletionListener)

public void setOnCompletionListener (MediaPlayer.OnCompletionListener listener)


 안드로이드를 통해 동영상이나 mp3 파일 등을 재생한 후 해당 미디어를 모두 재생이 되었을 때 설정하는 이벤트입니다. 사운드를 재생하는 MediaPlayer라던가 동영상을 재생하는 VideoView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의 인자로 OnCompletionListener()가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인터페이스로 new 로 함수를 새로 선언함으로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MediaPlayer에 setOnCompletionListener 함수를 적용한 예제입니다. 음악이 모두 재생된 후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MediaPlayer mp;
mp = MediaPlayer.create(this, R.raw.melody);
mp.start();
mp.setOnCompletionListener(new OnCompletionListener(){
 
        @Override
        public void onCompletion(MediaPlayer mp)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l1.setBackgroundColor(Color.TRANSPARENT);
            l2.setBackgroundColor(Color.TRANSPARENT);
            l3.setBackgroundColor(Color.TRANSPARENT);
            pb1.setVisibility(View.INVISIBLE);
            pb2.setVisibility(View.INVISIBLE);
            pb3.setVisibility(View.INVISIBLE);
            tv4.setText("");
            tag = 0;
        }
        
    });


300x250

크롬으로 티스토리 블로그 구조 파악하기

공대생의 팁 2014. 10. 1. 22:21

 티스토리 블로그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자신만의 디자인을 가진 블로그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있지요. 저 또한 이런 매력때문에 제 블로그를 티스토리에 차리게 되었기도 하지요. 그러나 이제 갓 블로그를 시작하는 초보 분들이라면 이러한 티스토리의 장접이 단점이 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기본적으로 HTML과 CSS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고 이를 수정할 줄 알아야 멋진 블로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인터넷을 검색하며 어떻게든 스킨을 이것 저것 수정해 나가면 코드의 구성을 어느정도 까지는 이해하실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하실 것입니다. 하지만 초보자에게 있어 이러한 소스의 수정도 한계가 있는법!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것은 크롬의 기능을 활용하여 블로그의 디자인을 보면서 해당 디자인이 코드로 어떤 방식으로 구현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보시는 화면은 제가 티스토리를 처음 시작할 때 처음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화면을 선택하신 후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신 후 '요소 검사'를 클릭합니다.



 그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쪽의 회면은 자신의 블로그이고요 아랫쪽 왼쪽 부분은 skin.html, 아랫쪽 오른쪽 부분은 style.css 파일입니다.

 skin.html에서 자신이 원하는 영역을 클릭하면 위쪽 화면에서 선택한 부분이 어느 영역인지를 표시해 주며

 왼쪽 윗부분에서는 해당 부분의 명칭과 픽셀 크기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style.css에서는 선택한 부분이 적용된 코드 부분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코드를 수정해서 멋진 사이트를 만들어 보도록 합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