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도쿄 여행] 일본에서 볼 수 있는 킷캣 전문 매장 KitKat Chocolatory
일본의 가장 큰 매력중 하나를 말하자면 우리나라에서 보기 힘든 매장들이 많다는 점을 예를 들고 싶군요. 생각보다 다양한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매장들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가게들 자체가 큰 매력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도쿄 이케부쿠로에 위치한 킷캣 전문매장은 전 세계 최초로 오픈한 킷캣 전문 매장으로 시중에서는 볼 수 없는 이 곳에서만 판매되는 한정판 킷캣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KitKat Chocolatory는 세이부 백화점의 한 코너로서 입점한 매점입니다. 그렇기에 이름만 듣고 꾀 큰 매장일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오신 분들이라면 조금은 의야해 하실 듯 합니다
매장 한쪽켠에서는 킷캣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잘 꾸며놓은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내부 장식은 킷캣 모형의 악세사리로 꾸며놓은 것이 상당히 독특해 보이는군요.
킷캣 매장에 도착한 시간은 오픈 시간인 10시에서 1시간을 약간 넘긴 11시 10분 즈음이었습니다만 벌써 매진된 상품이 보입니다. 생각보다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오므로 자신이 사고 싶은 종류의 킷캣이 있다면 매진에 신경쓰셔야 할 듯 보입니다.
저는 이 곳에서 오랜지맛 킷캣을 구매하였습니다.
킷캣 매장의 옆쪽을 바라본 사진입니다. 다른 가게들도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로 인해 북적이는군요.
상당히 매력적인 모습을 하고 있는 킷캣 매장의 간판입니다.
일본의 경우 각 지역별로 다양한 맛의 킷캣들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녹차맛은 국내에서도 이색적인 맛의 킷캣으로 잘 알려져 있지요. 각 지역의 특산물로 만든 킷캣들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와사비맛(!) 킷캣도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오직 일본에서만 팔기에 우리나라에서도 선물로서 상당히 큰 인기를 끌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언젠간 다양한 맛의 킷캣을 맛 볼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KitKat Chocolatory에 찾아가는 방법
이케부쿠로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지하 1층 SEIBU 백화점 본점으로 찾아가시면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영업시간 : 10:00 - 21:00 (휴일 20:00)
홈페이지 : http://nestle.jp/brand/kit/chocolatory/
전화번호 : 03-5949-2026
'좌충우돌 여행기 > 해외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실리콘벨리 탐방기록(3) - 산호세 뮤니시펄 로즈 가든[2015.07.01] (0) | 2015.07.11 |
|---|---|
| 실리콘벨리 탐방기록(2) - 링크드인(LinkedIn) 방문기[2015.07.01] (2) | 2015.07.09 |
| 실리콘벨리 탐방기록(1) - Google 방문기[2015.06.30] (3) | 2015.07.08 |
| [도쿄 여행] 에비스 생맥주를 맛볼 수 있는 야끼도리집(やき鳥とりちゃま) (0) | 2015.01.02 |
| [도쿄 여행] GUEST HOUSE WASABI(게스트 하우스 와사비) (0) | 2015.01.0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2) [안드로이드 커널 다운로드 및 컴파일]
지난 포스팅에서는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환경 구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커널을 다운로드한 후 이를 컴파일하는 과정을 진행해 보도록 합니다.
Ubuntu 12.04 환경에서 Terminal을 통해 안드로이드 커널을 구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erminal은 Ctrl+Alt+T 버튼의 조합으로 실행하실 수 있습니다.
커널을 다운받기에 앞서 아래의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apt-get 명령어를 통해 설치하며 아래의 내용을 그대로 터미널에 적은 후 엔터를 입력하면 되겠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git gnupg flex bison gperf build-essential zip curl libc6-dev libncurses5-dev:i386 x11proto-core-dev libx11-dev:i386 libreadline6-dev:i386 libgl1-mesa-glx:i386 libgl1-mesa-dev g++-multilib mingw32 tofrodos python-markdown libxml2-utils xsltproc zlib1g-dev:i386
$ sudo ln -s /usr/lib/i386-linux-gnu/mesa/libGL.so.1 /usr/lib/i386-linux-gnu/libGL.so
위 패키지를 설치하던 도중 libgl1-mesa-glx:i386을 설치하려 할 때 의존성에 의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실행을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git gnupg flex bison gperf build-essential zip curl libc6-dev libncurses5-dev:i386 x11proto-core-dev libx11-dev:i386 libreadline6-dev:i386 libglapi-mesa:i386 libgl1-mesa-dev g++-multilib mingw32 tofrodos python-markdown libxml2-utils xsltproc zlib1g-dev:i386
(libgl1-mesa-glx:i386 의존성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설치)
$ sudo apt-get install libgl1-mesa-glx:i386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안드로이드 커널을 설치하는 단계에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사용자 폴더에 bin이라는 이름의 폴더를 생성합니다.
$ mkdir ~/bin
다음으로 해당 폴더에 설치될 repo를 다른 폴더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PATH를 추가합니다.
$ export PATH=$PATH:~/bin
이제 repo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curl https://storage.googleapis.com/git-repo-downloads/repo > ~/bin/repo
다운로드한 repo에 실행권한을 추가합니다.
$ chmod a+x ~/bin/repo
이로서 repo를 설치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커널을 설치할 폴더를 만드신 후 해당 폴더로 이동합니다.
$ mkdir ~/lollipop
$ cd ~/lollipop
커널을 다운받을 폴더로 이동하신 후 repo를 초기화 합니다. 해당 초기화 내용은 폴더 내에 저장됩니다.
$ repo init -u https://android.googlesource.com/platform/manifest -b android-5.0.2_r1
맨 뒤에 굵은 글씨가 자신이 설치하고자 하는 안드로이드의 버전입니다. 자신이 설치하고자 하는 버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이트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android.googlesource.com/platform/manifest
위 목록에서 자신이 설치하고자 하는 버전을 선택하신 후 실행하면 repo가 알아서 해당 버전만 설치해줍니다.
$ repo sync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자마자 바로 안드로이드 커널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이 시작됩니다. 컴퓨터의 성능 및 인터넷 환경에 따라 빠르면 1시간내에 다운로드가 완료됩니다. 필자의 경우 약 3시간 30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된 안드로이드 커널(Lollipop)의 용량은 약 13.7GB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안드로이드 커널을 컴파일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make -j4
뒷부분의 -j4는 4개의 쓰레드를 수행하여 컴파일을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쓰레드의 갯수는 자신의 컴퓨터의 코어 갯수로 설정하면 최적하게 컴파일이 수행될 수 있습니다.
※가상머신 등 메모리의 크기나 Ubuntu 설치시 linux_swap 영역의 크기가 부족할 시 make 컴파일을 진행하는 도중에 실패로 종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용량을 더 크게 하거나 make 컴파일시 -j 옵션을 쓰지 않은 단일 thread로 컴파일을 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 단인 thread로 컴파일 시 컴파일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질 수 있습니다.(필자의 경우 약 2일 정도 소요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참고문헌 : 인사이드안드로이드, 송형주 외 3인 저, 위키북스, 2010
'안드로이드 > 프레임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ake: *** [out/target/common/obj/PACKAGING/checkapi-last-timestamp] error 38 (0) | 2015.01.18 |
|---|---|
|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3) [NEXUS5에 소스 빌드하기] (36) | 2015.01.17 |
| make: *** [out/target/product/generic/obj/SHARED_LIBRARIES/libwebviewchromium_intermediates/LINKED/libwebviewchromium.so] error 1 (0) | 2015.01.07 |
|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1) [입문 및 동작환경 구축] (0) | 2015.01.03 |
| 안드로이드 Native(NDK) 소스를 간단하게 보는 방법 (2) | 2014.11.1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1) [입문 및 동작환경 구축]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에 처음 입문하는 경우 거의 대부분의 분들이라면 안드로이드 SDK를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분들이 많으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 만으로도 상당히 흥미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임베디드 시스템에 관심있으신 분들이라면 이보다 더 깊이 공부하고 싶어 하시는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안드로이드의 애플리케이션 제작에서 만족하지 않고 한 걸음 더 들어가 프레임워크를 다루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위 그림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내부 구조입니다. 가장 아래 부분에는 잘 알려져 있는 대로 리눅스 커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쪽이 바로 흔히 SDK와 Java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부분입니다. 안드로이드의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기능들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 우리들이 다루고자 하는 목표가 바로 위의 붉은 네모로 표시한 프레임워크를 다루는 데에 초점을 맟출 것입니다.
※준비 사항
- 리눅스가 설치된 컴퓨터(Ubuntu 12.04 버전 추천)
→ Gingerbread 이후 버전부터 64bit 환경의 리눅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Froyo 이전의 버전은 32bit 사용이 가능합니다.
- Java Developer Kit
→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 쓰는 그 JDK입니다. Froyo 이전의 버전은 JDK 6, Gingerbread 이후 버전은 JDK 7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 IDE(Eclipse)
※시작하기에 앞서
-본 포스팅은 작성 당시 안드로이드 최신 버전인 Lollipop(5.02)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Lollipop의 경우 64bit의 환경에서 진행해야 수월하게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자신의 컴퓨터가 Windows 환경이신 분의 경우 리눅스 운영체제를 동작시킬 수 있는 가상머신을 사용해야 합니다. 흔히 사용되는 가상머신으로 VirtualBox와 VMware가 있습니다. 가상머신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상머신으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의 여유 공간이 최소 50GB(우분투 설치 공간 포함 약 60GB)정도는 확보하셔야 합니다. 최초 설치시 용량을 확보해 두지 못하면 나중에 다시 용량을 날려야 할 때 굉장히 고생하게 됩니다. 만일을 대비해서 최대 100GB정도 확보하시면 문제 없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Ubuntu 12.04(32bit)
http://ftp.daum.net/ubuntu-releases/precise/ubuntu-12.04.5-desktop-i386.iso
Ubuntu 12.04(64bit)
http://ftp.daum.net/ubuntu-releases/precise/ubuntu-12.04.5-desktop-amd64.iso
Virtualbox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VMware
다음으로 JDK를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Lollipop의 경우 JDK 1.7 버전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끝으로 이클립스를 설치합니다.
http://www.eclipse.org/downloads/?
자신의 Ubuntu의 버전에 맞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 내에는 이클립스 폴더가 있습니다. 입축을 해제하시면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우분투에 리눅스용 SDK 패키지를 설치한다.
http://developer.android.com/sdk/index.html
다운로드 사이트에 접속하신 후 계속 아래로 스크롤 하시면 SDK Tools Only 메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곳에서 Linux 전용을 클릭하도록 합니다.
압축파일을 확인하시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폴더를 적절한 곳에 압축을 해제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설치한 Eclipse에 안드로이드 플러그인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메뉴에서 Help ->Eclipse Marketplace...를 선택합니다.
검색창에 'android development tools'를 검색하면 Google에서 제공하는 ADT for Eclipse 메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오른쪽의 Install을 클릭하여 설치합니다.
위와 같이 나왔을 때 라이센스에 동의한다고 한 후 Finish 버튼을 눌러줍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나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입니다. Yes 버튼을 누르면 Eclipse가 다시 시작됩니다.
이클립스를 다시 실행하면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은 경고문이 등장합니다. 앞에서 설치하였던 SDK가 아직 이클립스와 연동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다음과 같이 발생합니다. Open Preferences를 클릭하여 SDK 폴더의 위치를 설정합니다.
Browse...에서 위에서 압축을 풀었던 SDK 도구의 폴더를 선택하신 후 OK를 눌러주세요. 만약 경고문이 뜰 경우 아래쪽 이미 존재하는 SDK 사용 메뉴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이클립스 메뉴에서 Window -> Android SDK Manager 를 클릭하면
우리들이 Windows에서 흔히 사용했던 Android SDK Manager를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안드로이드의 버전을 설치하면 이로서 프레임워크 구축 환경을 다루기 위한 구성요소의 준비가 끝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안드로이드 커널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과 이를 컴파일 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문헌 : 인사이드안드로이드, 송형주 외 3인 저, 위키북스, 2010
'안드로이드 > 프레임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ake: *** [out/target/common/obj/PACKAGING/checkapi-last-timestamp] error 38 (0) | 2015.01.18 |
|---|---|
|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3) [NEXUS5에 소스 빌드하기] (36) | 2015.01.17 |
| make: *** [out/target/product/generic/obj/SHARED_LIBRARIES/libwebviewchromium_intermediates/LINKED/libwebviewchromium.so] error 1 (0) | 2015.01.07 |
|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2) [안드로이드 커널 다운로드 및 컴파일] (0) | 2015.01.04 |
| 안드로이드 Native(NDK) 소스를 간단하게 보는 방법 (2) | 201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