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System 및 커널 수정을 gedit로 쉽게 하는 방법(sudo root 권한으로 gedit 실행)

공대생의 팁 2015. 11. 16. 00:16

 리눅스를 사용하는 여러분들께서 최상단 폴더인 root 파일을 수정하실 때 어떻게 하시는지요? 가장 쉬운 방법으로 vi가 있을 것입니다. GUI가 없는 server 버전의 리눅스에서는 vi만이 거의 유일한 editor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vi는 linux 사용자에게 있어 뗄레야 뗄 수 없는 프로그램이지요. 하지만 vi의 최대 단점으로 일일히 단축 명령어를 이용해야 하다 보니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직관적이지 못해 사용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물론 GUI 환경의 Desktop 버전을 사용하는 분이시라면 gedit라는 vi보다는 매우 편한 편집기가 있어 상당히 애용하다시피 하는데 막상 gedit로 루트 상단에 있는 파일을 수정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이 녀석을 마치 sudo 권한으로 root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면 참 편할텐데 말이지요...



 정말 다행이게도 gedit를 root 권한을 사용하여 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바로 gksu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Terminal에서 root 권한을 얻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경우 sudo를 사용합니다만 gui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gksu를 사용하면 마치 sudo와 같이 root 권한을 부여하여 root 파일을 수정할 수 있도록 권한이 설정됩니다.


$ gksu gedit &


 위와 같은 명령어를 수행하면 gedit를 root 모드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상단 / 에 있는 파일들을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게 됩니다!




300x250

Android Studio로 improt 한 후 컴파일 타겟 변경하기(failed to find target with hash string ...)

 최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건너온 이래로 차근차근 Eclipse에서 사용하던 project 들을 옮기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몇몇 프로젝트의 경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더군요.


Error : Cause : failed to find target with hash string 'android-15'


 이는 기존에 Eclipse 에서 사용하던 프로젝트가 Android Studio로 건너왔을 때 해당 버전에서 설정한 컴파일 sdk 버전이 없을 경우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2가지의 경우가 있습니다.

1. 해당 Target에 해당하는 안드로이드 버전을 SDK Manager를 실행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2. 컴파일 버전을 자신의 SDK Manager가 가지고 있는 버전으로 변경합니다. 변경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신의 프로젝트 폴더 -> app -> build.gradle


 해당 Gradle에서 compileSdkVersion을 변경해주면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동작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00x250

우분투 커널 업데이트 후 VirtualBox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을 때 해결방법(버전 5.08 이후)

공대생의 팁 2015. 11. 5. 22:57

 리눅스(우분투) 운영체제에서 가상머신인 VirtualBox를 사용하다가 Kernel 업데이트 중 시스템 상에 영향을 주는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되면 재부팅 이후 Virtualbox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팝업과 동시에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라는 안내가 친절하게 뜨곤 하지요.


$sudo /sbin/vboxconfig


물론 위의 경우가 발생하였을 때 바로 Terminal을 실행한 후 명령어를 입력하면 리눅스 커널이 해당 부분을 다시 컴파일 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런데 VirtualBox가 5.08버전에서부터는 이 명령어를 입력해도 동작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VirtualBox 5.08 버전 이후의 경우 이러한 경우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경우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시 말끔하게 해결할 수 있다.


$ sudo /sbin/rcvboxdrv setup





300x250